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22.0흐림북춘천21.7흐림철원22.3구름많음동두천22.4흐림파주23.1흐림대관령18.6흐림춘천21.4비백령도21.9구름많음북강릉22.7구름많음강릉25.9구름많음동해23.9흐림서울24.3비인천22.7흐림원주21.6박무울릉도23.0흐림수원22.7흐림영월20.0흐림충주22.1흐림서산24.4흐림울진23.7흐림청주23.9흐림대전23.2흐림추풍령19.4흐림안동21.2흐림상주20.5흐림포항23.5흐림군산23.3흐림대구22.2흐림전주23.6박무울산22.9흐림창원24.8흐림광주24.4흐림부산24.9흐림통영24.9흐림목포25.1흐림여수24.1흐림흑산도23.8흐림완도24.7흐림고창23.9흐림순천20.5박무홍성23.9흐림서청주22.3흐림제주25.7흐림고산25.0흐림성산26.1구름많음서귀포26.4흐림진주23.5흐림강화22.3흐림양평22.0흐림이천22.2흐림인제20.6흐림홍천21.3흐림태백19.7흐림정선군20.1흐림제천20.4흐림보은20.1흐림천안22.4흐림보령24.7흐림부여23.3흐림금산21.1흐림세종22.8흐림부안24.0흐림임실21.4흐림정읍24.6흐림남원22.0흐림장수19.8흐림고창군24.3흐림영광군24.2흐림김해시24.4흐림순창군22.5흐림북창원25.7흐림양산시24.9흐림보성군23.4흐림강진군24.1흐림장흥24.0흐림해남25.6흐림고흥23.2흐림의령군21.6흐림함양군21.0흐림광양시23.7흐림진도군25.4흐림봉화20.0흐림영주20.5흐림문경20.6흐림청송군19.3흐림영덕21.1흐림의성20.7흐림구미21.5흐림영천20.7흐림경주시23.1흐림거창20.4흐림합천22.0흐림밀양23.3흐림산청21.2흐림거제24.8흐림남해25.2흐림북부산25.1
  • 2025.07.16(수)

데이터 엔지니어링데이터 엔지니어링

[ML/DL] 그래프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1. 그래프 데이터, 통계를 만나다

지난 글에서는 그래프(Graph)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래프 구조 데이터를 어떻게 정의하고 저장하는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래프는 단순히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수단이 아니라, 복잡한 네트워크 속에서 중요한 인사이트를 찾아내는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래프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GNN(Graph Neural Network) 모델 설계나 사전 데이터 이해 단계에서 강력한 기초 인사이트를 제공해줍니다.

 

2. 그래프 분석이 필요한 이유

그래프 데이터를 분석한다는 건, 단순히 노드와 엣지의 구조를 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아래의 질문들은 네트워크 중심성군집성노드 밀도 같은 개념들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누가 가장 중요한 노드인가?
어느 집단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가?
어떤 노드가 네트워크 흐름을 좌우하는가?


    3. 대표적인 그래프 통계 지표

    3.1 Degree (차수)

    정의: 한 노드에 연결된 엣지의 수
    사용처: 영향력 높은 사용자 찾기 (예: SNS 팔로워 수)

       

       

       

      3.2 Centrality (중심성)

      Degree Centrality: 연결 수가 많은 노드
      Closeness Centrality: 전체 노드와의 평균 거리
      Betweenness Centrality: 경로 중간에 자주 등장하는 노드

      활용 예시: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사람 찾기, 정보 흐름 차단 지점 탐지

       

       


      3.3 Clustering Coefficient (군집 계수)

      정의: 한 노드의 이웃들이 서로 얼마나 잘 연결되어 있는지
      사용처: 커뮤니티 탐색, 사회적 밀집도 분석


         

         

        Karate Club 그래프 분석과 시각화 

        Zachary’s Karate Club 그래프는 유명한 커뮤니티 분리 실험에서 나온 그래프입니다.
        33명의 클럽 구성원과 그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그래프 분석 실습에 적합한 예시입니다.

         

         

        spring_layout 은 물리 기반의 노드 위치 결정 방식으로, 구조적 패턴을 자연스럽게 표현해줍니다.

         

         

         

         

        5. 통계적 분석이 주는 인사이트

        이러한 지표들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누가 핵심 인물인가? (중심성)
        어떤 노드가 소통의 허브 역할을 하는가? (중간 중심성)
        서로 끈끈하게 연결된 소규모 커뮤니티는 어디인가? (군집 계수)
        전체 네트워크의 밀도는 어떤가? (그래프 밀도)

         

        실제 서비스에서는 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는, 


        추천 시스템의 그래프 기반 강화
        인플루언서 마케팅 타깃 추출
        네트워크 이상 탐지 시스템 구축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래프 데이터의 구조적 분석 기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러한 통계적 분석은 GNN을 적용하기 전에 데이터의 성질을 이해하고 전처리를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전체댓글0

          검색결과는 총 26건 입니다.    글쓰기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