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구름많음속초22.7구름조금북춘천20.2구름조금철원18.1구름조금동두천16.1구름많음파주13.5맑음대관령15.1구름조금춘천19.9박무백령도7.6구름조금북강릉22.1구름많음강릉23.2흐림동해23.3연무서울16.5연무인천11.6맑음원주19.8맑음울릉도14.9구름많음수원16.0맑음영월19.9구름조금충주19.7맑음서산12.0구름많음울진23.2구름많음청주18.3구름많음대전17.0구름많음추풍령19.1황사안동21.3구름조금상주21.2맑음포항22.7맑음군산13.3황사대구23.1연무전주16.3맑음울산20.0맑음창원16.2구름많음광주16.8맑음부산15.1맑음통영15.3구름많음목포15.2맑음여수14.6맑음흑산도15.9맑음완도15.1맑음고창14.9맑음순천18.1연무홍성13.0구름많음서청주18.5맑음제주22.5맑음고산14.9맑음성산16.5맑음서귀포16.8맑음진주18.7구름많음강화11.1구름조금양평19.4구름조금이천18.1구름조금인제19.6구름조금홍천20.5맑음태백16.2맑음정선군20.2맑음제천19.6구름많음보은17.7구름조금천안17.7맑음보령12.4맑음부여13.9구름많음금산17.5구름많음세종16.4맑음부안15.0맑음임실17.7맑음정읍16.1구름조금남원19.0맑음장수17.0맑음고창군15.1맑음영광군15.0맑음김해시16.8맑음순창군17.0맑음북창원17.2맑음양산시16.5맑음보성군17.3맑음강진군17.6맑음장흥17.7맑음해남15.3맑음고흥16.4맑음의령군21.8맑음함양군20.1맑음광양시18.5맑음진도군16.0맑음봉화19.8맑음영주20.4구름조금문경19.6맑음청송군20.3맑음영덕22.6구름많음의성22.9구름많음구미23.1구름조금영천21.8맑음경주시21.9맑음거창19.6맑음합천22.9맑음밀양18.9맑음산청22.1맑음거제15.3구름조금남해18.2맑음북부산16.9
  • 2025.03.24(월)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구글애널리틱스 커뮤니티입니다.

GA4 이탈과 참여에 대해 이해하기

오늘은 GA4에서 참여와 이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A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UA에서 GA4로 전환됨에 따라 이탈의 개념이 달라지고 참여라는 개념이 새롭게 생겼습니다.

 

GA4 이탈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UA에서의 이탈 개념을 짚고 넘어가려 합니다.

 

UA에서 이탈이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특정 페이지만 보고 다른 페이지를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종료된 세션을 의미하고, 이러한 세션이 발생한 비율을 이탈률로 계산합니다. (이탈 세션 수 / 총 세션 수)

 

UA 시절에는 세션 내에서 페이지뷰 혹은 이벤트와 같이 조회가 1번만 발생한 단일 조회 세션을 이탈로 간주했습니다. 

예를 들어 2분 동안 특정 상품 상세 페이지에 머물렀다가 나가버리면 이탈한 것으로 집계합니다. 즉, 특정 페이지에서 아무런 상호작용 없이 오래 머무르면 이탈로 쉽게 정의해서, 일반적으로는 이탈률이 높게 나왔습니다. (GA4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참여했고 이탈이 아니라고 계산함)

 

 

GA4에서는 이탈은 오로지 참여의 반대 개념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참여를 알아야 이탈을 알 수 있습니다.

 

새롭게 등장한 참여의 정의는 다음과 같고,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더라도 참여에 해당됩니다.

1. 세션 10초 이상 지속

2. 페이지 조회 혹은 화면 조회 2회 이상 발생

3. 전환 이벤트 발생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 방문 후 9초 동안 페이지를 조회하거나, 페이지뷰가 1회 발생하거나,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참여 세션이 아닌 경우 GA4에서는 이탈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세션이 발생한 비율을 참여율로 계산합니다. (참여 세션 수 / 총 세션 수)

따라서 GA4에서 이탈률은 참여하지 않은 세션의 비율을 나타내며, 참여율의 역수입니다. (1 – 참여율 = 이탈률)

UA와는 달리 GA4에서는 참여 세션이라는 새로운 측정값을 통해 웹이나 앱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한 세션과 사용자를 보려고 하는 의도를 파악할 있습니다.  

 

 

한편 GA4에서는 user_engagement 이벤트로 사용자의 참여 정보를 수집하는데요. user_engagement 이벤트는 사용자가 페이지와 상호작용한 후 사이트에서 머문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자동으로 수집됩니다

 

 

아래와 같은 조건일 때 engagement_time_msec 이라는 매개변수가 전송되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얼마나 오래 머무르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고, engagement 사이의 시차를 밀리초 단위로 계산합니다.

1. 사용자가 앱 화면을 배경으로 이동한 경우

2. 사용자가 웹페이지로부터 포커스를 옮긴 경우

3. 사용자가 앱 화면이나 웹페이지를 벗어난 경우

4. 사이트 또는 앱이 비정상으로 종료된 경우

 

 

GA 고객센터에 나와있는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engagement_time_msec 매개변수가 수집되려면 이전 engagement와 이후 engagement가 있어야 하는데요. 스크롤, 다른 페이지로 이동 시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붙는 engagement_time_msec 파라미터를 통해 사용자가 사이트에 얼마나 머물렀는지 그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홈페이지 방문의 경우(first_visit, session_start) 이전 engagement 정보가 없기 때문에 engagement_time_msec 매개변수가 수집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1. UA vs GA4 이탈률 의미 변화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11986666#bounce_rate_vs_engagement_rate&zippy=%2C%EC%9D%B4-%EB%8F%84%EC%9B%80%EB%A7%90%EC%97%90%EC%84%9C%EB%8A%94-%EB%8B%A4%EC%9D%8C-%EB%82%B4%EC%9A%A9%EC%9D%84-%EB%8B%A4%EB%A3%B9%EB%8B%88%EB%8B%A4

 

2. 사용자 참여 발생 시간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11109416?hl=ko&sjid=8087952378343480112-AP

 

전체댓글0

검색결과는 총 58건 입니다.    글쓰기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