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6.9비북춘천4.3구름많음철원3.6맑음동두천4.8맑음파주6.1흐림대관령-1.3구름많음춘천4.5맑음백령도5.1구름많음북강릉6.6구름조금강릉6.8구름조금동해7.6맑음서울5.9구름조금인천6.0구름많음원주4.9비울릉도7.0맑음수원6.0흐림영월3.1흐림충주3.9맑음서산6.8맑음울진7.3구름많음청주4.9맑음대전5.8맑음추풍령4.3구름조금안동5.0구름조금상주5.4맑음포항7.1맑음군산8.2맑음대구7.1맑음전주7.2맑음울산7.5맑음창원8.5맑음광주6.1맑음부산7.6맑음통영8.5맑음목포8.7맑음여수6.8맑음흑산도9.6맑음완도9.3구름조금고창7.7맑음순천6.1맑음홍성7.7맑음서청주5.3맑음제주11.0맑음고산10.9맑음성산10.8맑음서귀포10.5맑음진주7.6맑음강화7.1구름조금양평6.4구름조금이천5.2흐림인제3.7구름많음홍천4.5흐림태백0.4흐림정선군2.7흐림제천1.9구름조금보은5.0맑음천안4.7맑음보령8.3맑음부여5.5맑음금산6.6맑음세종5.3맑음부안9.1구름조금임실3.3맑음정읍7.3구름조금남원4.5구름조금장수4.0맑음고창군6.5맑음영광군8.8맑음김해시7.1맑음순창군5.0맑음북창원8.1맑음양산시7.8맑음보성군8.4맑음강진군8.8맑음장흥8.5맑음해남9.2맑음고흥8.2맑음의령군8.6맑음함양군5.9맑음광양시6.6맑음진도군9.3구름많음봉화3.3구름조금영주4.8구름많음문경5.7구름많음청송군4.2맑음영덕6.1구름조금의성6.1맑음구미7.7맑음영천6.7맑음경주시7.3맑음거창6.6맑음합천8.2맑음밀양7.7맑음산청7.3맑음거제8.7맑음남해8.1맑음북부산8.3
  • 2025.04.13(일)

구글태그매니저[Google Tag Manager] 구글태그매니저 커뮤니티입니다.

GA4 스크롤 이벤트 - 향상된 측정 기능 대신 GTM으로 태깅하기

GA4 이벤트를 태깅하기 위해서는 이벤트가 자동으로 수집되는지, 아니면 직접 수집을 해야하는지를 이벤트 유형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벤트는 크게 4가지가 있는데, 그 중 향상된 측정 이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A의 향상된 측정 이벤트는 별도의 개발 작업 없이도 웹사이트나 앱에서 발생하는 일부 이벤트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향상된 측정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는 이벤트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페이지 조회(page_view) : 페이지가 로드되거나 활성 사이트에서 브라우저 기록 상태가 바뀔 때.

2. 스크롤(scroll) : 각 페이지에서 처음 하단에 도달할 때(세로 기준 페이지의 90% 표시될 때)

3. 외부 연결 링크 클릭(click) : 현재 도메인에서 외부로 나가는 링크를 클릭할 때

4. 사이트 검색(view_search_results) : 검색결과 페이지가 표시될 때마다(URL 쿼리 매개변수가 있을 경우 검색결과 페이지가 표시된 것으로 간주)

5. 동영상 참여(video_start, video_progress, video_complete) : 삽입된 유튜브 동영상에서 JS API 지원이 사용이 설정된 경우

6. 파일 다운로드(file_download) : 문서, 텍스트, PPT, 비디오, 오디오 등의 파일로 연결되는 링크를 클릭할 때

7. 양식 상호작용(form_start, form_submit) : 양식(폼)을 처음 상호작용하고, 해당 양식을 제출할 때

GA4 향상된 측정
향상된 측정 이벤트 유형

향상된 측정 설정은 데이터 스트림에서 가능하고, 페이지 조회를 제외한 6개의 이벤트를 각각 자동으로 수집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세팅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크롤 이벤트를 향상된 측정 이벤트가 아닌 GTM으로 따로 태깅을 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향상된 측정 기능을 활용하여 스크롤 이벤트를 자동 수집할 경우 다른 이벤트와 다르게 수집되는 매개변수가 없고, 스크롤 뎁스가 90%일 때만 이벤트가 발생되기 때문에, 25%, 50%, 75% 같은 스크롤 뎁스 매개변수와 함께 추적하기 위해서는 GTM을 사용하여 맞춤 이벤트(Custom Event)를 생성해야 합니다.

 

스크롤 이벤트를 GTM에서 설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Step 1. GA4 데이터 스트림 내 향상된 측정에서 스크롤 이벤트 항목 비활성화하여 스크롤 이벤트가 자동 수집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Step 2. GTM에서 ‘스크롤 깊이 트리거’를 생성합니다.

스크롤 이벤트를 언제 발생시킬 것인지 트리거 유형 중 스크롤 깊이를 선택한 후, 비율에 어느 정도까지 스크롤했는지 추적하고자 하는 값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25%, 50%, 75%, 95%인 경우에 스크롤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트리거 설정을 하였습니다.

 

Step 3. 스크롤 깊이 트리거를 활용하여 ‘스크롤 이벤트 태그’를 생성합니다.

참고로 스크롤 관련 변수는 별도로 생성할 필요 없이 GTM에서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1. Scroll Depth Threshlod : 사용자가 페이지를 스크롤했을 때, 스크롤 깊이를 기준으로 정의된 임계값입니다.일반적으로 25%, 50%, 75%, 100% 같은 값을 입력할 수 있고, 50이라는 의미는 사용자가 페이지의 50%를 스크롤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2. Scroll Depth Units : 스크롤 깊이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기본적으로 percent(%)로 설정되며, 픽셀 단위로도 표시할 수 있습니다.

3. Scroll Direction : 사용자가 페이지를 스크롤할 때의 방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수직 스크롤이 많이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 수평 스크롤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스크롤 태그 내 이벤트 매개변수에서는 percent_scrolled이라는 이름으로 Scroll Depth Threshlod 값을 수집하겠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이지에서 세로 스크롤 시, 어디까지 스크롤했는지 그 값을 scroll 이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스크롤 이벤트 태깅을 완료한 뒤, GTM 프리뷰를 통해 스크롤 이벤트가 잘 수집되고 있는지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스크롤 이벤트와 유사하게 사이트 검색, 동영상 참여, 파일 다운로드, 양식 상호작용 등의 이벤트도 GTM에서 제공하는 변수를 잘 활용하여 맞춤 수집할 수 있으니 업무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체댓글0

검색결과는 총 13건 입니다.    글쓰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