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12.2비북춘천14.9흐림철원14.2흐림동두천13.1흐림파주13.5흐림대관령10.1흐림춘천14.3비백령도11.9비북강릉12.3흐림강릉12.9흐림동해13.2비서울14.2비인천14.0흐림원주15.0비울릉도14.0비수원14.7흐림영월14.4흐림충주15.6흐림서산15.2흐림울진13.4비청주17.0비대전16.5흐림추풍령14.1비안동14.3흐림상주14.5비포항15.0흐림군산16.9비대구16.1비전주17.6비울산14.5비창원15.7흐림광주17.7비부산15.1흐림통영15.8비목포16.5비여수15.5안개흑산도14.7흐림완도15.8흐림고창16.4흐림순천14.3비홍성16.1흐림서청주17.0비제주21.6흐림고산16.4흐림성산19.4비서귀포18.4흐림진주14.8흐림강화13.5흐림양평15.2흐림이천14.4흐림인제13.3흐림홍천14.1흐림태백12.1흐림정선군13.3흐림제천13.9흐림보은15.2흐림천안16.0흐림보령18.3흐림부여16.2흐림금산16.3흐림세종15.8흐림부안18.4흐림임실15.8흐림정읍18.8흐림남원15.8흐림장수15.0흐림고창군17.7흐림영광군16.8흐림김해시15.1흐림순창군16.2흐림북창원16.6흐림양산시16.0흐림보성군15.9흐림강진군16.2흐림장흥17.0흐림해남16.5흐림고흥15.9흐림의령군16.3흐림함양군14.5흐림광양시14.8흐림진도군17.5흐림봉화13.8흐림영주13.8흐림문경14.2흐림청송군14.2흐림영덕13.6흐림의성16.0흐림구미15.8흐림영천15.0흐림경주시15.5흐림거창14.4흐림합천15.4흐림밀양16.6흐림산청14.4흐림거제15.5흐림남해15.0비북부산16.0
  • 2025.05.09(금)

구글태그매니저[Google Tag Manager] 구글태그매니저 커뮤니티입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GTM. Google Tag Manager) - 신규 도입된 구글 태그(Google Tag)로 데이터 수집 설정하기 - 1

구글 태그 매니저(GTM. Google Tag Manager) - 신규 도입된 구글 태그(Google Tag)로 데이터 수집 설정하기 - 1

 

Google Tag Manager(GTM)를 통해 Google Analytics 4(GA4)를 구성할 때,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동일한 Stream으로 보내는 여러 태그들에 동일한 이벤트 매개변수, 사용자 속성 등을 설정하는 것이 어려웠다는 것입니다.

 

2023년 9월 부터 GTM에 기존 GA4 구성 태그를 대체하는 새로운 구글 태그(Google Tag)와 이벤트 태그가 도입되었습니다(https://support.google.com/tagmanager/answer/7582054).

기존에 사용했던 구글 구성태그는 자동으로 변경되었지만, 새로 생성하는 태그의 경우 구글 태그를 사용해야합니다.

새롭게 도입된 구글 태그의 경우 GA4 뿐만 아니라 구글 애즈(Google Ads) 등 구글 플랫폼을 통합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unified tagging platform). 이번 글을 통해 어떤 것들이 변경되었고,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새롭게 추가된 요소:

  • Google 태그(Google Tag: Configuration Settings) - Google 태그 템플릿에서 구성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새로운 기능으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https://support.google.com/tagmanager/answer/13438166)
  • Google 애널리틱스: GA4 이벤트(Google Tag: Event Settings) - Google 태그 템플릿 및 GA4 이벤트 태그에서 이벤트 필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https://support.google.com/tagmanager/answer/13438771)

(새로운 태그 생성 시, 선택 가능한 태그 종류 - Google 태그, Google 애널리틱스: GA4 이벤트)

 

목차

1. 자동 마이그레이션

2. Google 태그 구성 방법

    2-1. 구성 설정

    2-2. 공유된 이벤트 설정

3. 이벤트 태그 구성(데이터 수집 설정하기 - 2 연재 예정)

    3-1. 이벤트 태그에 구성 설정 추가

    3-2. 페이지 수집 시 주의사항

4. 기타 설정(데이터 수집 설정하기 - 2 연재 예정)

    4-1. 페이지 뷰 자동 설정

    4-2. 서버 측 GTM 구성 설정(Server-side Tagging)

    4-3. GA4 사용자 속성 추가

5. 요약(데이터 수집 설정하기 - 2 연재 예정)

 

1. 자동 마이그레이션


자동 마이그레이션은 이전에 존재했던 Google 애널리틱스 4 구성 태그에만 해당됩니다. 롤아웃(및 마이그레이션)이 완료되면 모든 구성은 Google 태그만으로 완료됩니다.

 

이전에 사용했던 GA4 구성 태그는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1. Google 애널리틱스 4: 구성 태그가 Google 태그에 자동으로 마이그레이션됩니다.

2. 페이지 보기 이벤트 보내기 토글은 GA4 구성 태그에서 구성한 방식에 따라 참 또는 거짓 값을 가진 send_page_view라는 이름의 새 구성 키가 추가됩니다.

3. 서버 컨테이너로 보내기 토글은 GA4 구성 태그의 값을 사용하여 server_container_url이라는 이름의 새 구성 키가 됩니다.

4.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 제공 데이터 포함(서버에만 해당) 토글은 GA4 구성 태그의 사용자 제공 데이터 변수로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user_data라는 이름의 새 구성 키가 됩니다.

 

마이그레이션 시 이전 설정과 새 설정 간에는 기능적인 차이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UI로 변경되면서, 사용했던 설정이 구성태그의 필드로 적용되면서, 어떤 필드가 적용되는지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tagmanager/answer/13438166)

 

2. Google 태그 구성 방법


구글 태그는 GTM에서 신규 태그 생성 시, 아래와 같이 Google 애널리틱스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 태그는 Google 애널리틱스 메뉴 내(주황색) 혹은 Google 태그 메뉴(빨간색)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Google 태그에는 태그 ID가 필요합니다. 태그 ID는 구글 애즈, 구글 애널리틱스 등 여러 가지 중 하나일 수 있으므로, 추적을 원하는 ID를 찾아 삽입해주면 됩니다.

GA4 구성을 원하시는 경우, GA4 데이터 스트림의 측정 ID(G-XXXXXXXXXX)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태그 생성 시, 태그 ID를 직접 입력 혹은 변수 - 상수에서 값을 만든 후 태그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추후 이벤트 태그에 활용을 위해 상수 생성 후 삽입을 추천합니다.)


(GA4 스트림 측정 ID는 위의 경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 구성설정


페이지 뷰 수집 등 이전에 추가 설정으로 선택할 수 있었던 옵션들은 '구성 설정' 의 파라미터 값으로 대체되었습니다

 

 파라미터 명 예시 설명 
send_page_view false   해당 Google 태그가 로드될 때 페이지 뷰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할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server_container_url    https://sst.mydomain.com   해당 Google 태그의 트래픽을 서버 측 GTM으로 리디렉션 하려는 경우 서버 컨테이너의 URL 입니다.
구성 설정 파라미터의 전체 목록은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https://support.google.com/tagmanager/answer/13438166#parameters)

(구성 설정 파라미터가 확인되는 경우, 위와 같이 매개변수 박스 내에 체크표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 공유된 이벤트 설정


공유된 이벤트 설정에서는 이 Google 태그에서 보내는 모든 태그에서 공통으로 수집되는 이벤트 매개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가능한 파라미터는 맞춤 정의 이벤트 매개변수(ex: page_type, click_text 등)와 사전 정의된 매개변수(ex: currency 등), 사용자 지정 변수(ex: user_properties, user_data 등)입니다.

공유된 이벤트 설정은 Google 태그 뿐만아니라 이벤트 태그에서도 설정이 가능한데요. 두 태그에 동일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경우, 이벤트 태그에서 설정한 파라미터가 우선 되어 설정됩니다.

(Google 태그에 모든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는 있으나, click_text와 같이 특정 이벤트에서만 발생하는 파라미터의 경우 Google 태그 보다는 이벤트 태그에 넣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위와 같이 Google 태그에 설정된 파라미터는 해당 Google 태그를 통해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에 포함됩니다.

 

참고로 해당 Google 태그에 포함되는 값은 마지막으로 실행 되었을 때(ex: 페이지가 로드 되었을 때)의 값으로 고정됩니다.

따라서 한 페이지 내에서 이벤트 마다 값이 변경될 수 있는 값을 넣을 시에는 이벤트 파라미터에 추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번 글에는 새롭게 도입된 Google 태그가 기존에 있었던 구성 태그에서 바뀐 점들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기존에 없던 기능이 추가 되었다기 보다는 UI 구성 변경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데 더 용이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벤트 태그 설정 태그에서 변경, 추가된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체댓글1

    • 흰수염
    • 2024-01-31 22:58:43

    댓글 (0)
1
검색결과는 총 13건 입니다.    글쓰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