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22.0흐림북춘천21.7흐림철원22.3구름많음동두천22.4흐림파주23.1흐림대관령18.6흐림춘천21.4비백령도21.9구름많음북강릉22.7구름많음강릉25.9구름많음동해23.9흐림서울24.3비인천22.7흐림원주21.6박무울릉도23.0흐림수원22.7흐림영월20.0흐림충주22.1흐림서산24.4흐림울진23.7흐림청주23.9흐림대전23.2흐림추풍령19.4흐림안동21.2흐림상주20.5흐림포항23.5흐림군산23.3흐림대구22.2흐림전주23.6박무울산22.9흐림창원24.8흐림광주24.4흐림부산24.9흐림통영24.9흐림목포25.1흐림여수24.1흐림흑산도23.8흐림완도24.7흐림고창23.9흐림순천20.5박무홍성23.9흐림서청주22.3흐림제주25.7흐림고산25.0흐림성산26.1구름많음서귀포26.4흐림진주23.5흐림강화22.3흐림양평22.0흐림이천22.2흐림인제20.6흐림홍천21.3흐림태백19.7흐림정선군20.1흐림제천20.4흐림보은20.1흐림천안22.4흐림보령24.7흐림부여23.3흐림금산21.1흐림세종22.8흐림부안24.0흐림임실21.4흐림정읍24.6흐림남원22.0흐림장수19.8흐림고창군24.3흐림영광군24.2흐림김해시24.4흐림순창군22.5흐림북창원25.7흐림양산시24.9흐림보성군23.4흐림강진군24.1흐림장흥24.0흐림해남25.6흐림고흥23.2흐림의령군21.6흐림함양군21.0흐림광양시23.7흐림진도군25.4흐림봉화20.0흐림영주20.5흐림문경20.6흐림청송군19.3흐림영덕21.1흐림의성20.7흐림구미21.5흐림영천20.7흐림경주시23.1흐림거창20.4흐림합천22.0흐림밀양23.3흐림산청21.2흐림거제24.8흐림남해25.2흐림북부산25.1
  • 2025.07.16(수)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구글애널리틱스 커뮤니티입니다.

GA4 데이터 Scope와 세그먼트 3가지 유형 이해하기

 오늘은 GA4의 데이터 Scope과 세그먼트 3가지 유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GA4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4가지 Scope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사용자 스코프(User Scope) : 사용자의 행동과 속성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며, 특정 사용자와 관련된 모든 이벤트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데이터 수집 단위입니다.

2. 세션 스코프 (Session Scope) : 한 세션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그룹화하고, 특정 세션 동안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분석하는 데 유용한 데이터 수집 단위입니다.

3. 이벤트 스코프 (Event Scope) : GA4에서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수집 단위로, 이벤트는 페이지 조회, 메뉴 클릭, 버튼 클릭과 같이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특히 이벤트를 부연 설명할 수 있는 이벤트 파라미터와 함께 사용하여 분석합니다.

4. 상품 스코프 (Item Scope) :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데이터로 제품 성과를 분석하고자 할 때 사용하고, 상품 ID, 상품명, 상품 카테고리, 가격, 색상 등의 정보가 상품 스코프 데이터에 포함됩니다.

 

 

이커머스 이벤트 수집 시 발생하는 데이터레이어 중, items 배열 안에 묶여 있는 item_id, item_name, price, quantity, item_category 등 값들이 상품 스코프에 속하는 데이터라고 보면 됩니다.

 

데이터 Scope을 아래와 같이 구조화해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 세션 > 이벤트 순서로 큰 단위이고, 상품 스코프의 경우 select_promotion, view_item 같이 이커머스 이벤트일 때 상품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잘 이해하셨다면, GA4에서 세그먼트를 조금 더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세그먼트 유형도 데이터 Scope을 기준으로 크게 사용자 세그먼트, 세션 세그먼트, 이벤트 세그먼트로 나뉘어집니다.

 

우선 세그먼트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세그먼트(Segment)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을 의미하는데요. GA4에서는 사용자, 세션, 이벤트로 구분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을 분석하기 위해 세그먼트를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페이지를 방문한 사용자,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킨 사용자 등을 세그먼트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GA4 탐색 보고서에서 세그먼트 추가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3가지 유형을 볼 수 있습니다.

 

 

1. 사용자 세그먼트(User Segment) : 특정 행동이나 특징이 있는 사용자 그룹을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장바구니에 상품은 담았지만 구매를 하지 않은 유저를 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세션 세그먼트(Session Segment)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세션 그룹을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특정 캠페인이나 소스/매체로 유입된 경우를 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이벤트 세그먼트(Event Segment) :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이벤트 세그먼트는 잘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구조화된 데이터 Scope을 떠올려보면, 세그먼트 유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볼 수도 있습니다.

- 사용자 세그먼트에서는 동일 사용자, 동일 세션, 동일 이벤트를 포함

- 세션 세그먼트에서는 동일 세션, 동일 이벤트를 포함

- 이벤트 세그먼트에서는 동일 이벤트를 포함

 

이처럼 세그먼트 유형에 따라 가져오는 데이터의 범위가 달라져 데이터의 모수가 달라지므로, 세그먼트 분석 시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세그먼트 유형별로 가지는 조건 범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Across all sessions : 사용자가 조회 기간 내 한 번이라도 설정한 조건을 만족했다면 포함됩니다. 특히 사용자가 여러 세션에 걸쳐 특정 페이지를 한 번 이상 방문했거나, 특정 이벤트를 한 번 이상 발생시켰는지를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 Within the same session : 하나의 세션 내에서 설정한 조건을 만족했다면 포함됩니다. 사용자가 특정 세션 내에서 특정 페이지를 방문하거나,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를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 Within the same event : 동일한 이벤트 내에서 설정한 조건을 만족했다면 포함됩니다. 특정 페이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시퀀스 조건으로 시간 순서대로 일련의 행동 데이터를 볼 수 있고, 이는 유저 범위 세그먼트에서만 설정 가능한 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체댓글0

검색결과는 총 62건 입니다.    글쓰기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