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구름많음속초6.1구름많음북춘천-2.4맑음철원-2.6구름조금동두천1.1맑음파주-0.9흐림대관령-0.9구름많음춘천-2.1맑음백령도5.0흐림북강릉5.9흐림강릉8.3흐림동해5.8구름많음서울3.1구름많음인천2.3구름조금원주1.3구름많음울릉도5.6구름많음수원1.3구름많음영월1.5구름많음충주-0.9맑음서산0.2흐림울진7.4구름많음청주4.8구름많음대전3.9흐림추풍령2.5흐림안동3.4흐림상주5.5흐림포항8.1구름많음군산1.6흐림대구6.1구름많음전주5.3구름많음울산7.6구름많음창원5.8흐림광주6.3구름많음부산7.5구름많음통영5.6구름많음목포3.9구름많음여수5.9구름많음흑산도4.4구름많음완도5.3구름많음고창1.7흐림순천2.9구름많음홍성1.4구름많음서청주1.9맑음제주7.6맑음고산7.3구름조금성산5.6맑음서귀포8.3구름많음진주4.0구름조금강화-1.7구름많음양평0.4구름조금이천1.4구름많음인제-2.7구름많음홍천-0.9흐림태백0.1구름많음정선군-1.5구름많음제천-1.8구름많음보은0.5구름많음천안1.1구름많음보령0.9구름많음부여1.9구름많음금산2.6구름많음세종3.5구름많음부안2.3구름많음임실1.8구름많음정읍3.0구름많음남원3.4구름많음장수0.5구름많음고창군2.0구름많음영광군2.0구름많음김해시5.8구름많음순창군3.2구름많음북창원7.1구름많음양산시6.4구름많음보성군3.7흐림강진군5.0흐림장흥4.6흐림해남3.3흐림고흥3.6구름많음의령군5.0구름많음함양군5.9구름많음광양시5.9구름많음진도군2.6흐림봉화1.1흐림영주3.7흐림문경3.4흐림청송군0.2흐림영덕5.1흐림의성0.7흐림구미2.5흐림영천3.7흐림경주시4.0구름많음거창3.4구름많음합천3.8구름많음밀양4.2구름많음산청4.2구름많음거제7.2구름많음남해4.1구름많음북부산4.4
  • 2025.01.18(토)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구글애널리틱스 커뮤니티입니다.

GA4의 강점 및 세션/유저/이벤트 정의

Google Analytics 4(GA4)의 정의와 강점

Google Analytics 4(GA4)는 구글이 제공하는 새로운 분석 도구로, 웹사이트와 앱에서 사용자 활동을 추적하여 비즈니스에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GA4는 이전 버전인 Universal Analytics의 후속 제품으로,
더 유연하고 사용자 중심의 측정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 경험 개선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더욱 정교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GA4의 주요 강점

  1. 1. 통합된 사용자 경험 분석: 웹사이트와 앱 간 사용자 경험을 하나의 보고서에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2.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모델: 세션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여정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3. 기계 학습을 통한 인사이트 제공: AI와 기계 학습을 활용해 데이터에서 중요한 트렌드와 예측 정보를 자동으로 도출합니다.
  4. 4. 유연한 이벤트 추적: 사용자의 특정 활동이나 이벤트를 보다 유연하게 추적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세션, 이벤트 개념

  • 사용자(User): 웹사이트나 앱을 방문하는 개별적인 방문자. GA4는 사용자를 더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 ID, Client ID,  APP Instance ID 등 다양한 식별자를 활용합니다. 사용자 ID를 제외한 ID들은 쿠 기반으로 생성되며 동일 사용자더라도, 브라우저/ 기기 별로 각각 생성됩니다.
  • > 사용자 ID를 수집한다면, 브라우저, 기기를 변경해도 동일한 사용자임을 인식할 수 있으나 해당 ID가 없을 경우, 브라우저, 기기 변경 시 GA4는 동일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로 인식합니다.
    (구글에 따르면 신호 데이터나 모델링 등을 통해 동일 유저들을 식별한다고는 하나, 100%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여집니다.)
    즉 Client ID 기준으로 유저 식별 시, 홍길동이라는 사람이 특정 사이트에 3번을 방문했는데 방문할 때마다 각기 다른 브라우저, 기기를 사용했다면 GA4는 홍길동이라는 사람을 3명의 유저로 인식합니다.
  •  
  • 세션(Session):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 연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간. GA4에서 세션은 이전과 달리 사용자의 활동 기반으로 측정됩니다.
  • > 홍길동이라는 사람이 동일 브라우저, 동일 기기로 사이트에 들어가면 해당 유저에 대해 GA4는 유저 수를 1명으로 카운팅합니다. 다만, 홍길동이라는 사람은 다수의 세션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홍길동이라는 사람이 사이트에 진입한 후 30분 간 활동이 없다가 활동을 재개하면 새로운 세션이 시작되며 이 경우, 홍길동이라는 사람은 사이트에서 2개의 세션을 기록한 것입니다.세션 만료 시간은 GA4 설정에서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  
  • 이벤트(Event): GA4에서 이벤트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수행하는 모든 상호작용을 나타냅니다.
    이는 페이지 조회, 버튼 클릭, 비디오 재생과 같은 사용자의 행동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포괄적으로 추적합니다. 이벤트 추적을 통해, 웹사이트나 앱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 세션 별 유입 소스 기준

    GA4는 기존 UA와 다르게 하나의 세션이 여러 소스 정보를 가질 수 있습니다.
    (광고 UTM을 클릭해도 세션이 만료되지 않고 유지됨.)

  • 예시를 들어드리자면, GA4에서는 제가 구글로 커뮤니티 사이트에 진입했다가 30분 내 사이트에 재진입할 시, 제 세션에는 구글과 네이버에 대한 유입 정보가 기록됩니다.

그렇다면 GA4는 제 세션의 유입 정보를 어디라고 기록할까요?
정답은 세션의 첫 유입 소스인 구글입니다. 

 

구글 공식 가이드에 따르면, 세션 별 유입 정보는 세션을 유도한 소스로 기록합니다.
다만, 세션이 직접 방문으로 시작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해 마지막으로 알려진 소스에서 발생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GA4의 이벤트 유형

    GA4에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이벤트를 구분합니다:

    1. 자동으로 수집되는 이벤트: GA4는 사용자의 일부 기본 활동을 자동으로 추적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 방문(session_start), 첫 페이지 뷰(first_visit), 앱 설치(installation)와 같은 이벤트가 이에 해당합니다.

    2. 추천 이벤트: 이는 GA4에서 사전에 정의한 일련의 이벤트로, 특정 유형의 비즈니스와 관련된 중요한 사용자 상호작용을 추적합니다. 예를 들어, 'add_to_cart'(장바구니에 추가), 'purchase'(구매 완료) 등의 이벤트가 추천 이벤트에 포함됩니다. 추천 이벤트를 사용하면, 특정 업종이나 활동에 맞는 데이터 수집이 용이해집니다.

    3. 사용자 정의 이벤트: 사용자가 특정 상호작용을 추적하고 싶을 때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이벤트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버튼 클릭이나 페이지 내의 특별한 상호작용을 추적하고자 할 때,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생성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전체댓글0

검색결과는 총 56건 입니다.    글쓰기